
보철이란?
치아우식증, 치주질환, 신경치료 또는 외상에 의해 치아를 잃었거나 치아의 파절 등
경조직이 심하게 손상되었을 때 금이나 세라믹 등 인공대체물로 보충하여 손상된
기능 및 형태를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켜주는 치료이며 이때 사용되는 인공 대체물을
치과 보철물이라고 한다. 치아를 잃었을 경우 보철치료를 해주지 않으면 옆 치아와 맞물리는
치아가 빈 공간으로 쏠리게 되어 기존 치아의 틈이 벌어지거나 쓰러지게 된다. 또한 신경 치료를 했거나
치아에
금이 간 경우 보철치료를 해주지 않으면 깨지기 쉽다.
-크라운
신경치료가 완료된 치아 충치가 여러 곳에 발생하여 간단한 수복이 어려운 치아,
치아에 금이 가서 보호를 해줘야 할 경우 등. 결손된 치아 조직을 금이나 세라믹과 같은
인공대체물로 보충하여 치아의 원래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켜주는
치료이다
-브릿지
한 개 이상의 치아 상실시 상실치아의 인접한 치아를 지지대로 하여 상실된 부위에
가공치를 연결해주는 보철치료를 말하며, 임플란트에 비해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,
수명의 한계가 있어 보통 5~10년마다. 보철물을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.
-틀니
치아의 다수 혹은 전부를 상실하거나 후방에 기대치가 없는 환자에게 치아를 대신하는
인공치아 구조물을 말하며, 부분틀니, 전체틀니가 있으며, 환자가 배었다 끼었다 할 수 있다.
부분틀니는 고정성 보철물에 비하면 상당히 불편하지만 전체 틀니에 비하면 딱딱한 음식을 씹을 때
잇몸에 충격을 덜 주므로 전체 틀니보다 적응하기 쉽다.
심미보철
전치부의 치아 사이가 벌어진 경우, 치아가 변색된 경우, 치아배열이 불규칙한 경우 등
환자가 심미적인 부분을 보철물로 개선하려고 할 때 시행하는 보철치료를 말하며,
주로 앞니의 심미적인 면을 보강하기 위한 치료이기
때문에 자연치의 색상과 투명감이 유사한 재료를 사용한다.